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island of blow

삶을 위한 낯익음들 본문

log/re:epilog

삶을 위한 낯익음들

onyéul 2021. 8. 26. 19:19

 

꿈속에서는 늘 같은 곳을 헤맬 때가 있다.

제정신의 기억에는 박혀있지 않지만 밤과 낮의 잠결에 씌여 꿋꿋하게 나를 인도하는 나만이 인지되는 공간들.

예컨대 항상 같은 영화가 흘러나오는 지하의 한 카페.

간판과 영화와 그들의 페르소나는 꿈에서 깨는 순간 잊어버리고 말지만 그럼에도 같은 공간을 꿈꿀 때마다 그들은 늘 그곳에 있다.

아니면 항상 같은 굉음이 만들어지는 철로 위의 낡은 기차와 그 기차를 둘러싼 끝도 없는 자작나무숲.

차창 밖으로 자작나무 사이 숲길을 볼 때마다 나는 옛날에 죽은 내 강아지와 산책하기에 참 좋은 곳이 틀림없다고 생각한다.

그리고 언젠간 반드시 그 강아지와 함께 숲속의 역에서 내려봐야겠다고도 생각한다. 비록 지금은 더 멀리 가고 있을지라도.

그러나 꿈이 끝나면 죽은 강아지도 꿈속의 자작나무도 분명히 더 멀리 가고 있던 그 목적지도 순식간에 사라지고 없다.

언제 같은 꿈을 다시 꿀 수 있을지는 전혀 알 수가 없는데도.

그래서 기다리거나 염원하거나 하지도 않고 그저 또 흘려보내다가 언젠가 또 그 순간이 찾아오면 다시 그때처럼 앓고 말 뿐이다.

 

삶이 그나마 살만 한 것은 삶의 운용이 이 꿈들의 운용과도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.

마주처야만 이전에도 만났던 적이 있구나 하고 몸서리치게 되는 것들.

마주치기 전까지는 무슨 짓을 해도 떠올릴 수 없도록 그저 곤히 잠들어 있는 것들.

감각만이 감각할 수 있는 모든 물체들. 숨소리와 그림자에 매달린 모서리들.

그런 것들이 삶에는 산재해 있기 때문에 바로 그 연고로 사람은 미치지 않고서도 정신의 파편을 모아나갈 수가 있는 것이다.

 

따라서 꿈과 환각과 도취가 존재하는 필요는 같다.

다만 살기 위한 것이다.

초가을 거미줄에 걸린 잠자리를 보고서 십여 년 전 이맘때에도 같은 잠자리를 본 적이 있었다는 안도감이 드는 것과 같은 것이다.

'log > re:epi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흰 말  (0) 2021.09.16
파란 양동이  (0) 2021.09.16
그런데 왜 자꾸 빨래는 밀릴까  (0) 2021.08.26
그렇게 누구나처럼 어른이 된다  (0) 2021.08.26
그래도  (0) 2021.08.26